리서치 하이라이트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에 의한 TFH 세포의 대사 조절과 체액 면역
Nature 595, 7869
TFH (T follicular helper) 세포는 B 세포 매개 체액 면역을 돕는데 매우 중요하다. TFH 세포의 분화와 기능은 케모카인(Chemokine) 수용체 CXCR5에 의해 조절되며, 이는 종자 중심 반응(Germinal centre response)과 수명이 긴 형질 세포의 생성을 위해 TFH 세포를 B 세포 여포(Follicule)로 이동시키는 것을 촉진한다. 본 연구에서 Hongbo Chi와 연구진들은 TFH 세포의 발달과 기능에 대한 번역후 메커니즘에 대해 발표하였다. 연구진들은 TFH 기능적 발달에 매우 중요한 PE (Phosphatidylethanolamine)의 De novo 합성 경로에 작용하는 효소를 확인하였다. 대사 경로는 TFH 세포의 막에 대한 PE의 공간적 분포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요 여포 귀소(Homing) 수용체 CXCR5의 발현과 국소화를 조절한다. 저자들은 CDP (Cytidine diphosphate)-에탄올아민(Ethanolamine) 경로가 백신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하기 위해 항체 반응을 촉진하는 TFH 관련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치료적 표적일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하였다.
2021년7월29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등방성(Isotropic) Planckian 산란율의 선형적 온도 저항
초대질량 블랙홀(Supermassive black hole) 뒤편에서 빛 굴절과 X-선 에코(Echoes)
과잉 도핑(Overdoped) 큐프레이트(Cuprate)의 이상 금속(Strange-metal) 영역을 가로지르는 비간섭성(Incoherent) 수송
표지 기사: 2개의 공격
미세아교세포를 프로그래밍하고 알츠하이머병을 제한하는 성상세포의 Interleukin-3
학습을 유도하는 AGRP 단식상태 뉴런의 먹이 신호 조절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에 의한 TFH 세포의 대사 조절과 체액 면역
2020년 여름 유럽 전역에 전파된 SARS-CoV-2 변이
질병 감수성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인핸서(Enhancer) 방출과 재표적화
아진(Azine)의 선택적 C-H 보릴화(Borylation)을 위한 라디칼(Radical) 접근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