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태양열의 능력
Nature 590, 7847
잠재적인 고효율성으로 인해 금속 할라이드(Halide)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기반 태양전지는 오늘날의 실리콘 기반 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강력한 후보군이지만, 페로브스카이트의 광 수확능(Light-harvesting ability)은 과도한 전하 캐리어 재결합(Charge carrier recombination)에 의해 제한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번주 호에서 Jangwon Seo와 연구진들은 전하 캐리어 관리를 향상시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드는 전체론적 접근법(Holistic approach)을 발표하였다. 연구진들은 고품질 산화 주석 전자 수송층을 생성하는 증착(Deposition)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태양전지에서 활성층(Active layer)의 밴드갭(Bandgap)을 희생시키지 않고 광전자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2개의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결합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전략과 결합시켰다. 그 결과 태양전지는 실리콘 전지와 유사한 25.2%의 전력 전환 효율을 보였으며, 2가지 기술 간의 성능 격차가 빠르게 좁아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표지 이미지: Younghee Lee
2021년2월2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태양열의 능력
핵분열에서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의 생성
동결 주조(freeze-casting)와 염석(Salting out)의 시너지를 통한 강력한 하이드로겔(Hydrogel)
정상 상태(Steady-state) 마이크로번칭(Microbunching) 메커니즘의 실험적 입증
초기 배아에서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을 가능하게 하는 협동 내피 식세포 작용(Phagocytosis)
종양 형성(Tumorigenesis)을 개시하는 유전자 환경 유도 후성유전적 프로그램
절단 유도 복제(Break-induced replication) 추적을 통해 확인한 장애물에서의 복제 중단
외피 비보유 바이러스(Non-enveloped virus)의 침투 단백질의 기능적 재접힘(Refolding)
벼에서 토양질소에 대한 지리적 적응의 유전적 기초
Type-III CRISPR 면역동안 방어를 제공하는 Card1 nucl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