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아인슈타이늄(Einsteinium) 복합체의 구조적 및 분광학적 특징
Nature 590, 7844
트랜스 플루토늄(Transplutonium) 원소의 희소성과 높은 방사능은 이들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오랫동안 제한해왔다. 이러한 원소 중 아인슈타이늄(Es)은 아마도 가장 흥미로운 연구 대상 중 하나일 것이다. Es는 주기율표에서 전통적인 구조 및 분광학적 연구를 위해 충분한 양으로 생성될 수 있는 가장 무거운 원소이다. 본 연구에서 Rebecca Abergel과 연구진들은 아주 적은 양의 물질로 얼마나 많은 일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200 나노그램 미만의 Es (약 276일의 반감기)를 사용하여 Es 배위결합 복합체(Coordination complex)를 합성 및 분리하여, 구조를 조사하고, 최초의 Es 결합 거리 측정을 발표하였다. 싱크로트론(Synchrotron) 방사선 광원을 사용하여 복합체의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초기 악티늄족(Actinides)에서 최초로 민감한 발광 상태의 Es (III)를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희소성 높고 수명이 짧은 원소의 화학 연구와 관련된 실험적 장애물을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2021년2월4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박테리아 활성 물질(Active matter)에서 시공간적 배열의 점탄성(Viscoelastic) 제어
화학 합성을 위한 도구로써의 Bayesian 반응 최적화(Optimization)
상온에서의 반강자성(Antiferromagnetic) 반-스커미온(Half-skyrmions)과 바이메론(Bimerons)
표지 기사: 염분이 없는 북극해
아인슈타이늄(Einsteinium) 복합체의 구조적 및 분광학적 특징
식사로 인한 복통을 유발하는 식품 항원에 대한 국소 면역 반응
접촉 이전(Pre-contact)의 카리브해의 유전학적 역사
항-종양 면역을 유도하는 EBV 메커니즘과 치료목적의 사용
시냅스 수에 의해 유도되는 피질 반응 선택성
SARS-CoV-2의 연령별 사망률과 면역 패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