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핵 조립과정 중 세포질을 제외시키는 Ki-67에 의한 염색체 클러스터링

Nature 587, 7833

감수분열(Mitosis) 동안 핵막이 분해되어 세포질과 핵 성분이 혼합될 수 있다. 핵막이 재형성되는 감수분열 말기에 세포질 성분은 핵공을 통해 핵에서 빠져 나온다. 핵공은 크기가 작은 물질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크기가 큰 세포질 구성 요소가 핵에서 빠져 나오는 방법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핵막 재형성 이전에 크기가 큰 구성 요소가 이미 제외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초기 감수분열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계면활성제 유사 단백질 Ki-67의 반발(Repulsive) 분자 'Brushes'는 감수분열 종료 시 붕괴(Collapse)된다. 이를 통해 Ki-67은 염색체가 감수분열 방추(Spindle)의 극에 접근함에 따라 염색체 클러스터링을 촉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