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초전도성 준전하(Quasicharge) 큐비트(Qubit)
Nature 585, 7825
초전도 회로(Superconducting circuits)는 조셉슨 접합(Josephson junctions)의 비소산(Non-dissipative) 또는 비선형 거동(Non-linear behaviour)에 의해 양자 시스템에서 2가지의 단계만을 가지는 큐비트(Qubits)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양자 회로는 큐비트 상태를 정의할 수 있을 만큼 요동(Fluctuation)이 억제되는 물리적 자유도가 다른 3가지 종류의 기본적인 양자 회로가 있다. Vladimir Manucharyan와 연구진들은 듀얼(Dual)의 잘 확립된 트랜스몬(Transmon) 회로인 Blochnium이라고 명명한 4가지 종류의 초전도 회로에 대해 발표하였다. Blochnium은 Hyperinductance라고 부르는 회로 요소에 의존적이며, 이들의 기본 물리 변수는 조셉슨 접합의 준 전하(Quasi-charge)이다.
2020년9월17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백색 왜성(White dwarf)을 지나가는 거성(Giant planet) 후보군
초전도성 준전하(Quasicharge) 큐비트(Qubit)
초음파 감지를 위한 서브마이크로미터 실리콘-온-인슐레이터 공진기(Submicrometre silicon-on-insulator resonator)
초파리 각막 나노코팅의 리버스(Reverse) 및 포워드 엔지니어링(Forward engineering)
표지 기사: Viking world의 집단 유전체학
PMD (Pelizaeus-Merzbacher disease)를 회복시키는 PLP (proteolipid protein) 억제
포유류 배아에서 비대칭적으로 유전되는 운명 결정인자(Fate determinants)인 케라틴(Keratins)
종양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층 상피조직의 역학(Mechanics)
진균의 내성을 유발하는 이종염색질(Heterochromatin)에 의한 후성 유전자 침묵(Epigenetic gene silencing)
MSA (Multiple system atrophy)에서 α-시누클레인(α-synuclein) 섬유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