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체 공격 동안 응집(Aggregation)을 막아주는 세포외 단백질 항상성(Extracellular proteostasis)
Nature 584, 7821
세포 안에서 복잡한 샤페론(Chaperones) 네트워크와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시스템(Proteolytic machineries)은 단백질 항상성(Proteostasis)을 유지한다. 그러나 세포외 단백질 항상성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 Ivan Gallotta과 연구진들은 Caenorhabditis elegans를 이용하여 세포 외부의 단백질 항상성에 관여하는 분비 단백질들을 발견하였다. 세포외 단백질들은 기질 형성, 다른 세포로의 신호 전달 또는 면역 제공 등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Ivan Gallotta과 연구진들은 병원체 공격에 반응하여 상향 조절되고, 단백질 응집(Aggregation)을 억제하며, 동물이 중독(Intoxication)에 저항하고, 노화를 지연시키는 분비 단백질들의 단백질 항상성 네트워크를 밝혀내었다. 이는 세포내 이입(Endocytosis)와 홀다아제(Holdase) 또는 샤페론 활성에 의해 제거와 같은 세포외 단백질 항상성의 뚜렷한 메커니즘을 통해 입증되었다. 저자들은 세포외 단백질 항상성 유도가 병원체의 전파를 막고 분비 강화에 의해 단백질 독성을 완화한다고 발표하였다. 생물 정보학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세포외 조절인자의 절반이 잠재적인 사람의 Orthologues를 가지고 있으므로, 벌레에서의 세포외 단백질 항상성에 대한 지식은 포유류에서 유사한 발견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포외 침전물이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난치성 퇴행성 신경 질환의 특징이라는 사실은 이 연구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2020년8월2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COVID에 대한 질문들
초전도 다이오드(Diode) 효과의 관찰
인터페이스(Interface) 극성 대칭에 의해 유도된 압전(Piezoelectric) 및 초전(Pyroelectric) 효과
황에서의 액체-액체 전이 및 임계점(Critical point)
1900년 이후 해수면 상승의 원인
사람 지배적 생태계에서 동물 매개 감염 숙주의 다양성 증가
병원체 공격 동안 응집(Aggregation)을 막아주는 세포외 단백질 항상성(Extracellular proteostasis)
초파리(Drosophila)에서 난소-장 스테로이드 신호전달에 의해 발생하는 Fitness trade-offs
우한에서 COVID-19의 전체적인 전염 역학의 재구성
변화하는 환경에서의 보편적인 성장과 지연 간의 Trade-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