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 COVID-19에 대한 비약물 중재의 효과 추정
Nature 584, 7820
Samir Bhatt, Seth Flaxman과 연구진들은 유럽에서 전파되고 있는 COVID-19에 대한 통제(Lockdown)와 다른 비약물 중재(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에 대한 효과를 이해하기 위하여 반기계적 베이지안 계층 모델(Semi-mechanistic Bayesian hierarchical model)을 설계하였다. 이 모델은 COVID-19 사망 데이터 (신뢰할 수 없으나, 사례 데이터만큼 신뢰할 수는 없음)를 입력하여 pan-European approach에 따라 후향적으로 감염 수준을 확인한다. 유럽 국가들은 통계를 강화하기 위해 모든 데이터를 합쳤으며, 개별 조치의 효과는 모든 국가에서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강력한 가정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은 보다 구체적인 국가 수준의 연구에서 얻은 것과 일치하는 COVID-19의 기본 감염재생산수(Reproductive number)의 추정치를 얻었다. 연구진들은 2020년 5월 4일 기준으로 11개 유럽 국가들 전체 인구의 3.2%~4%가 COVID-19에 감염되었으며, 국가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결론내렸다. 중재(Intervention)가 없는 반사실적 시나리오(Counterfactual scenario)와의 비교를 통해 비약물 중재에 의해 약 3 백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분석을 통해 가장 강력한 억제를 제공한 통제를 제외하고 개별 측정의 효과를 분리하는 것은 어렵지만, 매우 높은 확률로 통제가 감염재생산수를 1 아래로 내렸으며, 질병의 확산을 막는데 성공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2020년8월13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Kerr-cat 큐비트(Qubit)의 안정화 및 작동
다층 능면체형 흑연에서 전자 위상 분리
순환 변화로 인한 해양 온난화를 나타내는 열과 탄소 커플링(Coupling)
표지 기사: 열대림에서 실험적 온난화에 의한 토양 탄소 손실
서식지 손실과 생물 다양성 손실을 악화시키는 생태계 붕괴
유럽에서 COVID-19에 대한 비약물 중재의 효과 추정
단일세포 해상도에서 스트레칭 매개 피부 팽창의 메커니즘
B 세포 레퍼토리를 형성하는 점막 또는 장내미생물의 전신 노출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HDAC3 활성의 2가지 관여
세포외 단백질의 분해를 위한 리소좀 표적 키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