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양막 배아(Amniote embryos)에서 해당과정(Glycolysis)의 WNT downstream을 조절하는 세포간 pH
Nature 584, 7819
배아(Embryo) 성장에서 신체의 신장은 Tail bud에서 새로운 중배엽 세포(Mesodermal cells)의 추가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새로운 중배엽 세포들은 전구체의 대사 활성 증가에 따라 신경-중배엽 전구체에서 생성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중배엽 운명 획득에 필요한 Wnt 신호전달의 증가를 유도한다. 이러한 세포에서 대사 활성의 변화가 어떻게 Wnt 신호전달을 조절하는지는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Oliver Pourquié와 공동 저자들은 대사 활성이 신경-중배엽 전구체의 세포 간 pH를 증가시키고, 이러한 pH 증가에 의해 β-catenin의 번역 후 수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이 일어나 Wnt 신호전달 활성화를 활성화시켜 중배엽 운명 획득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성장하는 tail bud의 세포가 대사 활성, pH, Wnt 신호전달에서 유사한 변화가 보고된 증식하는 암 세포와 유사한 행동을 한다고 발표하였다.
2020년8월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목성의 얕은 뇌우(Shallow electrical storms)에서 번쩍이는 작은 번개(Small lightning)
콜로이드 시스템(Colloidal system)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매우 빠른 냉각
광효소 거울상 선택적(Photoenzymatic enantioselective) 분자간 라디칼 수소화 탈알킬화(Intermolecular radical hydroalkylation)
아닐린(Aniline) 합성을 위한 광화학 탈수소화 전략
양막 배아(Amniote embryos)에서 해당과정(Glycolysis)의 WNT downstream을 조절하는 세포간 pH
벼의 줄기 성장동안 지베렐린산(Gibberellic acid) 반응의 길항적 조절(Antagonistic regulation)
지질막에서 D2 도파민 수용체-G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일본에서 연령과 관련된 조혈 클론(Haematopoietic clones) 중 염색체 변화(Chromosomal alterations) / 클론 선택의 수단이 되는 단일인자 및 다인자 유전(Monogenic and polygenic inheritance)
콜히친 알칼로이드(Colchicine alkaloid) 생합성의 발견 및 엔지니어링
복제하는 SARS-CoV-2 중합효소(Polymerase)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