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지방조직의 교감신경 자극을 조절하는 렙틴(Leptin)-BDNF 경로
Nature 583, 7818
ob/ob 마우스에서 아디포카인 렙팁(Adipokine leptin)의 결핍은 먹이 섭취 증가와 이동운동(Locomotion) 및 열 발생(Thermogenesis) 감소에 따른 에너지 소비 감소에 의해 비만을 유발한다. Wang 등은 식이 유도 비만(Diet-induced obesity)으로 인한 렙틴 감소 또는 렙틴 부족 ob/ob 마우스에서의 렙틴 감소는 백색, 갈색 지방의 신경 자극 전달(Innervation)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렙틴을 이용한 ob/ob 마우스의 만성 치료는 지방의 교감신경 자극을 회복시켜 열 발생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 내한성(Cold tolerance)이 생기고 체중이 감소된다. 렙틴은 뇌의 시상하부 영역(Hypothalamic regions)에서 BDNF 신호전달을 상향조절(Upregulating)함으로써 지방의 교감신경 자극을 매개한다.
2020년7월3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ENCODE (Encyclopedia of DNA Elements) 프로젝트의 3
남극 Dome A에서 천문학적 시상(Astronomical seeing)의 야간 관측
초전도 인공 거대 원자들의 도파관 양자 전기역학(Waveguide quantum electrodynamics)
유연한 단일 결정 페로브스카이트(Single-crystal perovskite) 장비를 위한 제조 공정
모델 예측보다 훨씬 더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북대서양 기후
산호 상어의 전세계 현존 상태와 보존 잠재력
폐암의 맞춤 치료(Personalised therapy)에 대한 National Lung Matrix Trial
장기간 추위 감지(Cold sensing)에 기여하는 온도 의존적 성장
지방조직의 교감신경 자극을 조절하는 렙틴(Leptin)-BDNF 경로
B-세포 형질전환을 저하하는 발산형 경로(Divergent pathways)로부터의 신호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