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Treg 세포에 의한 대장염(Colitis) 억제를 촉진하는 위험 좌위(Risk locus) 11q13.5에 존재하는 Distal enhancer
Nature 583, 7816
Treg (Regulatory T cell, 조절 T 세포) 기능의 상실은 마우스와 사람에서 모두 치명적인 염증을 일으킨다. 그러나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을 통해 자가 면역의 다형성과 알레르기 질환의 병리 생리학에서의 Treg의 연관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Roychoudhuri와 연구진들은 CRISPR-based technology을 이용하여, 특이적으로 Foxp3+ Treg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대장염(Colitis) Treg 세포-매개 저항에 필요한 Distal enhancer를 포함하고 있는 사람 자가면역 질환 및 알레르기 11q13.5 위험 좌위(Risk locus)와 상동인 마우스 염색체 7 영역을 식별하였다. 연구진들은 Enhancer가 GAR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IL-2 (Interleukin 2)-유도 발현을 매개하기 위하여 전사 인자 STAT5를 recruit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Enhancer 내의 위험 변이는 Enhancer 히스톤 아세틸화 감소와 Foxp3+ Treg 세포에서의 GARP 발현 감소와 관련이 있다. 마우스에서 Enhancer를 제거하면 DSS에 노출 시 대장염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Treg 세포-매개 면역 조절의 위험 좌위에 대한 기능을 정의하고 사람 자가면역 질환의 병태 생리학에서의 Treg 세포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2020년7월1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WSe2에 의해 안정화된 금속성의 뒤틀린 이중층 그래핀(Twisted bilayer graphene)에서 초전도성(Superconductivity))
Ni-loaded 촉매에서 암모니아 합성을 위한 공동 가능(Vacancy-enabled) N2 활성화
공유 결합을 강화하는 퀴륨 피롤리딘 디티오카바메이트(Curium pyrrolidinedithiocarbamate) 압축
초분자 환상형 빌딩블록
Transcytosis 전환에 의해 노화될수록 손상되는 생리적 혈액-뇌 수송
체세포 줄기세포에서 전사 다이나믹(Transcription dynamics)의 단일 분자 이미징
장-뇌 신경회로를 통해 교감신경 뉴런을 조절하는 미생물
Treg 세포에 의한 대장염(Colitis) 억제를 촉진하는 위험 좌위(Risk locus) 11q13.5에 존재하는 Distal enhancer
표지 기사: 망간 산화에 의한 박테리아 화학독립영양(Chemolithoautotrophy)
BAM 복합체에서 접히는 초기 막 단백질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