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펙틴 및 산화 질소 매개 암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페로니아
Nature 579, 7800
현화 식물에서, 화분관은 밑씨 안에 암 배우체의 수정을 위해 움직이지 않는 정자를 운반한다. 페로니아(FERONIA) 수용체 키나아제(Kinase)는 정자 전달 뿐만 아니라 다정자 수정(하나 이상의 정자에 의한 수정)을 차단하는 데 관여한다. Alice Cheung과 그의 동료들은 페로니아가 어떻게 다정자 수정을 방지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였다. 그들은 암 배우체 입구의 세포벽 영역인 filiform apparatus에서 화분관의 성장은 세포벽 성분 펙틴(Pectin)의 절편 생성과 페로니아 의존적으로 산화 질소의 축적을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산화 질소는 LUREs를 변형시켜, 이들 화학 유인 물질 효능에 영향을 미쳐 다음 화분관을 밑씨로 안내한다.
2020년3월2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열 화상 이미지로 밝혀진 원시 소행성의 다공성 특성
중 페르미온 금속UTe2의 카이랄 초전도성
초고속 전자 공학을 위한 나노플라즈마에서 가능한 피코세컨드 변환
극저온 단층촬영법(Cryo-STEM tomography)을 통해 확인된 페리틴 결정화 메커니즘
펙틴 및 산화 질소 매개 암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페로니아
암 진단 접근법으로 제안되는 혈액과 조직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장 장벽을 조절하는 섭취 음식 의존적 VIP 뉴런-ILC3 회로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기 위한 멜라토닌 수용체 리간드의 가상 발견
아레나바이러스(Arenavirus) 복제 시스템의 구조적 통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