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중 페르미온 금속UTe2의 카이랄 초전도성
Nature 579, 7800
다양한 변칙적인 초전도체는 초전도 전자쌍에 의해 형성된 파동 함수의 스핀과 대칭에 의존한다. 전자의 삼중쌍은 카이랄(Chiral)과 위상적으로 특이한 상태(Topologically non-trivial state)로 마요라나 페르미온(Majorana fermions)을 실현할 수 있다. Vidya Madhavan과 그의 동료들은 최근에 발견된 중페리미온 초전도체(Heavy-fermion superconductor) UTe2의 표면에서 Step edges를 조사하여 이러한 초전도 상태를 실현하였다. 그들은 스캐닝 프로브 분광법을 사용하여 물질의 초전도 에너지 갭에서 카이랄 edge state를 발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UTe2에서 드물게 관찰된 삼중 카이랄 초전도성의 존재를 입증할 수 있으며, 이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탐색하기 위한 유망한 플랫폼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3월2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열 화상 이미지로 밝혀진 원시 소행성의 다공성 특성
중 페르미온 금속UTe2의 카이랄 초전도성
초고속 전자 공학을 위한 나노플라즈마에서 가능한 피코세컨드 변환
극저온 단층촬영법(Cryo-STEM tomography)을 통해 확인된 페리틴 결정화 메커니즘
펙틴 및 산화 질소 매개 암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페로니아
암 진단 접근법으로 제안되는 혈액과 조직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장 장벽을 조절하는 섭취 음식 의존적 VIP 뉴런-ILC3 회로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기 위한 멜라토닌 수용체 리간드의 가상 발견
아레나바이러스(Arenavirus) 복제 시스템의 구조적 통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