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2차원 원자 이중층에서 관찰되는 고온 엑시톤 응축물
Nature 574, 7776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Bose-Einstein condensate)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 희석된 가스가 보이는 물질의 상태로써, 대부분의 보손(boson)들이 가장 낮은 양자 상태를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응축물은 엑시톤(exciton)과 같은 보손성 유사입자(bosonic quasiparticle)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결정 물질에서는 반도체 또는 그레핀의 양자웰 상태(quantum well state)에서도 관찰된다. Kin Fai Mak과 공동연구원들은 2차원 전이 금속 디칼코게니드(dichalcogenide)의 반데르발스(wan der Waals) 이질구조에서 100K 이상의 온도에서 인터레이어 엑시톤의 응축 현상을 관찰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보스-아인슈타인 응축(Bose-Einstein condensate)은 이러한 물질 내의 거대 엑시톤 결합 에너지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존재하였으며, 이중층 구조와 터널 장애물을 통해서 엑시톤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응축물 기반 옵톡일렉트로닉스와 엑시톤-유발 초전도현상을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9년10월3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암 치료를 위한 선천성 면역 활용법 개발
숙주 면역세포에서 페스트 수용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된 FPR1
새롭게 디자인된 IC7Fc 키메라 사이토카인을 이용한 제 2형 당뇨병 치료
구상 성단의 서로 다른 두 집단으로부터 확인된 M31 내의 두 개 주요 강착 시점
2차원 원자 이중층에서 관찰되는 고온 엑시톤 응축물
표지 기사: 종 분화 단계에 대한 각인
장 스페로이드의 전장-중장 경계로부터 확인된 간-담낭-췌장 장기 형성 모델링
6가지 주요 자가면역성 질환 환자들로부터 얻어진 B세포 수용체 전체 종류 분석 결과
유전학적 분석을 통한 항암제 오프라벨 사용 가능성 타진을 위한 임상 연구 결과 발표
헬리오 로돕신의 결정 구조 분석